💡광고 발견부터 구매까지의 과정과 데이터
● 광고 발견 단계의 데이터(1) - Impression, Reach
노출 impression 광고가 '보여진 횟수'
도달 reach 광고를 '본 사람 수'
빈도 = 노출 ÷ 광고비
💡 노출과 도달이 높다 = 많이 봤다!
<분석 사례>
동일하게 100만원 씩 집행한 두 광고 중 광고 A는 노출이 100,000회, 광고 B는 노출이 50,000회로 측정
Step 1. 비교 • 노출은 기본적으로 광고비에 비례. 두 광고는 같은 비용으로 집행했기에 노출 횟수만으로 비교가 가능합니다. • 같은 금액을 썼음에도 A가 B보다 더 많이 보여 졌네요.
Step 2. 판단 • 광고 시스템 알고리듬이 A가 더 좋은 광고로 판단(좋아요, 댓글, 클릭 등의 반응을 보고)해 더 많이 보여준 것일 수 있어요 - 각 광고에 대한 반응(좋아요, 댓글, 클릭 등)을 확인해 봐야 합니다.
<분석 사례>
A: 비율 100명 중 8등과
B: 20명중 3등 은 누가 더 잘한 것인가요?
100 A 8 15 20 3 B 각 등수의 위치가 전체 중 어디쯤의 있는지를 상대적으로 가늠해야 제대로 비교가 가능
▷ 비교하려는 각각의 대상을 같은 수준으로 늘리거나(x) 줄이는 (÷) 계산을 선행해야 합니다.
A:8 ÷100= 0.08
B:3÷ 20 = 0.15
A의 8 등이 B의 3등보다 더 앞선 등수
<분석 사례>
두 개의 광고 A,B를 집행하니 광고 A는 노출이 1,000,000회, 광고 B는 노출이 500,000회 로 측정되었어요.
광고비는 A는 10만원, B는 5만원 집행. 이 데이터를 보고 마케터는 어떤 생각이 떠올라야 할까요?
Step 1. 비교 • 광고비를 다르게 지출했기에 비율(노출/광고비)을 계산하면 두 광고가 같은 가격을 썼을 때로 환산해 어떤 것이 더 많이 보여졌을 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Step 2. 계산 (노출 ÷ 광고비)
A: 1,000,000회 + 10만원 =10
B: 500,000 회 + 5만원 = 10
Step 3. 판단 • A와 B는 광고비 대비 비슷하게 노출이 된 것이며, 따라서 두 광고는 비슷한 효율을 보이네요.
● 광고 발견 단계의 데이터(2) - CPM, CPC, CTR
✅ CPM / cost per mile / 1000 impression
: 우리 광고가 얼마나 많이 보여졌는지를 비용으로 나타낸 데이터
광고 시스템에서 광고비를 산정하는 방식으로 쓰이기도 함
CPM = (광고비 / 노출수) X 1000
노출수 = (광고비 / CPM) X 1000 = 50,000이라면
50,000노출을 보장한다는 의미
💡 CPM이 높다 = 비싼 광고다!
✅ CTR / click trough rate
: 광고를 봤을 때 얼마나 클릭을 했는지
CTR = 클릭수 / 노출수
💡 CTR이 높다 = 호기심을 부르는 광고다!
* 그러나 기대와 다른 페이지가 펼쳐지면 바로 이탈하기에
CTR이 높다는게 꼭 좋은 광고라고 말할 순 없지만 그래도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데
성공했다고 할 수 있다.
✅ CPC Cost per click
: 광고로 고객을 우리 사이트로 데려옴에 얼마를 썼는지
직접적으로 파악 클릭이 일어날 때에만 광고비를 받는 과금체계
CPC : 광고비/클릭수
💡 CPC가 높다 = 비싼 광고다!
광고의 효율이 좋다 (높다) 라는 것은
같은 광고비로 더 좋은 (많은) 성과를 얻거나, 더 적은 광고비로 비슷한 성과를 얻어 내는 것이기도 하지요
효율이라는 개념을 통해 광고를 잘 해냈는가를 따져볼 수 있습니다
※ CTR(클릭률), 구매전활율 같은 비율로도 광고의 효율 판단이 가능합니다.
광고의 효율은 광고의 목적이 무엇이냐에 따라 다른 지표로 따져봐야 한다!
● 웹페이지 데이터(1) - PV, UV
✅ PV page view
: 페이지가 읽힌 횟수
광고 등의 유입링크 성과와 페이지가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다른지표(이탈률, 방문자 수, 구매전환 등)과 함께 분석해야 페이지의 개선점 도출 가능
pv는 고객의 관심을 측정할 수 있는 숫자
💡 PV가 높다 = 많이 봤다
• 유입경로 : 유입 경로 별로 많이/적게 보는 페이지가 다른가
• 키워드 : 어떤 검색어로 들어온 페이지의 PV가 높은가/낮은가
• 디바이스 : 디바이스(iOS, 구글 등)별로 PV의 차이가 있는가
• 인구통계학 : 성별, 연령 별로 많이/적게 보는 페이지가 다른가
• 이탈률 : 페이지를 많이 보긴 하지만 보고 나가는가
• 순방문자수 : 페이지만 보고 다른 페이지는 안 보는가
✅ UV unique visitor
: 순수 방문자 수
사용자 단위로 접근한다면, 특정 페이지로 유입된 사용자가 다른 페이지를 보는 등의 추가활동 여부를 알 수 있음.
다른지표(이탈율, 방문자 수)와 함께 분석하면 페이지의 개선점 도출 가능
신규/재방문 사용자를 구분해 유입의 성과와 서비스 만족도 측정 가능
💡 UV가 늘어난다 = 신규 사용자를 많이 데려왔다
* 궁극적으로 광고를 보고 들어온 사람들의 기대치를 상세페이지에서 잘맞춰줘야한다!
● 웹페이지 데이터(2) -전환, 히트맵, 시간
✅ CVR conversion rate or CR
: 페이지를 본 고객이 얼마나 구매하게 했는지를 나타냄
CVR = 구매 / 클릭
💡 전환율이 낮다 = 상세페이지가 별로다
(전환을 높이기 위해서는 광고소재와 상세페이지의 핏이 맞아야 한다)
개선의 실마리는 히트맵을 통해 찾을 수 있다.
세션(방문) : 재방문 포함
이탈(BOUNCE)
💡 세션이 많다 = 방문이 많다
💡 페이지의 이탈률이 높다 = 다른 페이지로 넘어가지 않는다
● 매출 데이터 - ROAS, CAC, LTV
✅ ROAS 광고비 대비 매출액
RETURN ON AD SPEND
ROAS = 매출/광고비
* ROAS 100% : 광고비를 쓴 금액 만큼 팔았다는 의미
- 광고비 100만원 써서 100만원 매출 냈다
EX. 200%? 광고비 쓴 것의 2배만큼 팔았다는 것
비용과 원가, 매출의 크기 등의 개념은 미 반영된 수치
<분석 사례>
광고비 50만원을 써서 200만원의 매출이 발생한 광고A와
2만원을 써서 10만원 매출이 발생한 광고B는 어떤 광고가 더 효율이 좋은 가요?
A광고의 ROAS = 매출 ÷ 광고비 = 200만원 ÷ 50만원 = 400%
B광고의 ROAS = 매출 ÷ 광고비 = 10만원 ÷ 2만원 = 500%
B광고가 ROAS가 더 높음 = B가 A보다 광고비 대비 매출이 높음
단, ROAS는 비율이기에 절대적인 수익을 비교할 수는 없어요
✅ CAC / CUSTOMER ACQUISITION COST
: 고객 획득 비용_캑
특정 기간의 캠페인 비용을 특정 기간 신규 고객 수로 나눔
(EX. 광고기간)
CAC = 마케팅 총 지출 / 고객 수
CAC 5만원 : 1명의 고객을 확보하는 데 5만원을 썼다는 것
상대적인 비교로 마케팅 효율을 측정하는 지표
✅LTV / LIFETIME VALUE
고객 생애 가치
고객이 앞으로 가져올 이익
한 고객이 기업(브랜드)를 꾸준히 소비할 때 얼마를 지불할 것인가
비즈니스 특성에 맞게 다양한 방식으로 계산
평균 구독 기간 *월 정액,
평균 구매 주기 * 평균 구매액
● 저관여 / 고관여/ 유입경로 추적
저관여 제품
(상대적으로) 가격이 싸거나 구매에 큰 고민이 필요 없는 제품
고관여 제품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거나 구매에 한참 고민을 해야 하는 제품
-> 무조건 가격에 따라 나눠지는건 아님, 사람에 따라 상대적인 개념
EX. 아이폰만 사는 사람들은 가격이 높더라도 큰 고민없이 아이폰 새시리즈를 구매하는 경우
✅ 유입 경로
: 어떤 URL에서 링크를 클릭해 우리 사이트로 오는지 파악 가능
: GA 같은 분석 도구가 있어야 함(설치해야 함)
어디서 더 많이/ 적게 오는지를 파악해 '광고비 몰아주기'등의 결정 가능
- 우리 서비스에 오기 전에 있던 곳, 어떤 계기로 우리를 찾는지 알 수 있음
* 외부에 나가는건 무조건 UTM 붙여줘야 함
* https://manddymore.tistory.com/manage/newpost/3?type=post&returnURL=https%3A%2F%2Fmanddymore.tistory.com%2Fmanage%2Fposts
어디까지가 진짜URL? -> ? 전까지!
✅ 기본 구분(Default)
• Organic Search : 검색 결과를 클릭해 들어온 경우
• Direct : 주소창에 URL을 입력하거나 북마크로 들어온 경우
• Social : SNS에서 공유된 링크를 클릭해 넘어온 경우
• Paid Search : 키워드(검색) 광고를 클릭한 경우
• Display : 배너 광고 같은 노출형 광고를 클릭한 경우
• Referral : 블로그나 게시판 링크로 들어온 경우
● 정리
💡고객을 획득하고 재구매하기까지의 과정을 데이터로 측정해 지표화 시켜(계산)
광고와 페이지가 잘/못 만들어졌는지(성과)를 파악해 개선해야 하는 영역 파악 가능
QUIZ
복기할 사항
📑 구글의 'Play Store'가 제공하는 광고 식별 값은 ADID (Advertising ID)
📑 애플의 'App Store'가 제공하는 광고 식별 값은 IDFA (Identifier for Advertisers)
📑 Apple이 iOS 14.5부터 도입한 맞춤형 광고를 허용할지 차단할지의 여부를 iOS 및 iPadOS 기기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한 정책 및 그에 동반한 소프트웨어 -> App Tracking Transparency (ATT)
📑 인터넷의 다양한 정보 및 소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로 정보 수집의 주체로써 주로 쿠키가 사용되는 데이터는 **서드 파티 데이터(Third-party data)**입니다. Apple이 iOS 14.5부터 도입한 App Tracking Transparency (ATT) 정책은 이러한 서드 파티 데이터의 수집을 제한하고 있음.
주어진 상황에서:
- 광고소진비용: 60,000원
- 노출 수: 3,000
위 값을 공식에 대입하면:
CPM=(60,000원3,000)×1,000\text{CPM} = \left( \frac{60,000 \text{원}}{3,000} \right) \times 1,000 CPM=20,000원\text{CPM} = 20,000 \text{원}
따라서, CPM 단가는 20,000원
📑
LTV (고객 생애 가치, Lifetime Value)는 고객이 회사에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수익을 나타내며, CAC (고객 유치 비용, Customer Acquisition Cost)는 고객을 유치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을 나타냅니다. 이 둘의 관계를 고려할 때, 가장 지속 가능하게 성과를 낼 수 있는 환경은 LTV가 높고 CAC가 낮은 경우
📑
주어진 상황에서:
- 노출 수: 20,000회
- 클릭 수: 500회
따라서, CTR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CTR=(50020,000)×100%=2.5%\text{CTR} = \left( \frac{500}{20,000} \right) \times 100\% = 2.5\%
CTR은 **2.5%**
📑 CPI보다 CPA가 더 큰 개념!
📑 네이버 디스플레이광고는 CPT(tiem) 시간당 광고
📑CPV(View) : Cost Per View"의 약자로, 광고를 1회 시청하는 데 드는 비용, 유튜브와 같은 동영상 플랫폼에서 많이 사용
📑AD spending : 광고 비용, 즉 특정 기간 동안 광고 캠페인에 지출한 총 금액을 의미. 광고주가 광고를 통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투자한 금액
광고 레퍼런스 사이트 ❗
오픈애즈
오픈애즈
www.openads.co.kr
내가 보고 싶은 광고를 선택하고 싶다면❓
✅ 광고를 볼 때
- 광고 기간_ 오래 살아남은 광고는 성과가 좋은 광고!
- 보통 하나의 광고 소재가 터지면 그걸 토대로 디벨롭
- 요즘 이미지 보다 영상 소재가 성과가 좋음
* 나스미디어의 레포트에 이젠 숏폼 위주로 될 것이라는 자료가 있었음
3일차 총평
마케팅 지표에 관한 수업을 들었다.
사실 계속 이 부분을 공부해야지 하면서도 미루었는데
이렇게 강제로? 하게되어 짐을 던 기분이다.
각각의 개념에 대한 이해는 한 것 같은데
막상 실제 사례 적용하면 어버버거릴것 같다..
오전에 vod 듣고 오후에 퀴즈를 풀었는데,
30문제 가량 되었다. 생각보다 어려웠음...
그로스쿨에서 마케팅 시험을 출제할 예정이라고 한다.
저번에 광고에서 접하고 체험단을 해보고 싶었는데
블로그가 없어 패스하였다
이번 기회에 비슷하게나마 접하게 되어 좋았다.
-
눈에 띄는 광고가 보이면 저장해두기
-> 광고 소재 제작 미션 대비
+ 요즘 인스타의 해시태그는 의미 X
'마케팅 기본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케팅의 기본적인 이론 및 커뮤니케이션 방법 (1) | 2024.06.1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