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GA4(Google Analytics4) 기초 개념

manddymore 2024. 7. 15. 17:50

 

: 데이터 수집 초기 환경 구성부터 데이터 분석까지(With GTM) 

 

 

✔ GA를 배워야하는 이유 

GA에서 자주볼 수 있는 용어 

  구글 데모 계정 세팅하는 법

  구글 데모 계정에서 GA 확인하는 법 

 


 

 

🔖GA를 배워야하는 이유 

옛날로 따지자면 고객의 일련의 행동 과정을 기록한 '장부'개념 

고객이 선호하는 것을 측정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통해 상태를 개선시켜 더 나은 성과를 일으키기 위해 

 

측정 - 관리 - 개선 이 3가지를 위해서 이 툴을 사용하여, 

목표 달성하고자 

 

감이 아닌, '데이터'를 보고 개선하고 의사결정하고자. 

 

 

GA4의 역할은 [측정]부터 시작

 


✅ GA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용어

 

🔘 도메인 

: 인터넷상 컴퓨터 주소 

 

 

 

🔘 랜딩페이지

: 광고를 클릭했을 때 연결되는 펭지 (주로 쇼핑몰 메인, 상세페이지 등으로 연결)

 

🔘 파라미터(paremeter), 매개변수

: 웹사이트 주소 뒤에 붙는 매개변수로 이를 활용해 세부적 랜딩페이지 타겟팅

(페이스북으로 돌아온 방문자들 따로 추적 가능)

 

 

 

🔘 UTM 코드(UTM code)

: 주로 ga에서 활용되며, GA에서 정의한 규칙에 따라 방문자를 구별해서 확인

 

* 중요 

나중에 GA에서 방문자가 어디에서 어떤 이벤트에서 보고 유입했는지 알 수 있음 

 

 


🔘 세션(방문)

: 웹사이트내에서 유저(고객)가 방문한 전체적인 프로세스

 

GA3에는 30분이 지나면 세션이 종료되었는데, GA4에서는 연달아서 측정된다고 함 

 

 

 

🔘 참여 세션 

: 사용자가 유의미한 액션을 한 세션 

 

(1초만에 종료 -> 잘못누른 경우)를 감안하여

GA4에서 유저가 유의미한 액션을 한 순간부터 측정되느 [참여 세션]이라는 개념이 추가됨

 

-> 허수 확인 가능 

 

* 유의미한 행동으로 보는 것

1. 우리의 사이트에 10초 이상 머물렀을 경우

2. 특정 이벤트(클릭, 스크롤, 드래그 등)

3. PV(페이지 뷰) 수가 2회 이상일 경우 (= 이 페이지를 보고 다른 페이지로 넘어간 경우)

 

 

🔘 세션 시간 

 

EX. 메인 페이지 -> 상세페이지로 넘어가는데 몇분이나 걸리나?


 

✅  GA4 데모 계정 - 시작하기 

 

GA4 데모 계정이란? 

아직 웹 페이지 데이터 값이 없거나  GA4를 처음 접하는 입문자들을 위해서

데이터를 분석해볼 수 있도록 구글 공식 굿즈샵(웹데이터)의 데이터를 데모 계정으로 제공한  

 

+ 게임 어플도 있음 (웹 및 앱 데이터)

 

준비물 

: 구글 계정 가입 + 크롬 브라우저 설치 

 

 


 

1. [데모 계정] 서치 

 

 

 

2. [Goole merchandise store(웹 데이터)] 접속

 

 

3. 대시보드 접속_ 지표 확인 

 

 

 

 


 

✅  GA4 데모 계정 - 살펴보기 

 

 

 

 

 

 

: 우리의 비즈니스 기초 컨디션 상태

보고서 : GA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데이터를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보고서 

탐색 : 내가 보고싶은 '나만의 보고서'를 보는 곳

광고 : 구글 광고의 기여도를 확인할 수 있는 곳

구성 : 유저의 행동(이벤트)가 어떻게 들어왔는지 확인할 수 있는 곳

 

 

 

 


 

 

 

 

-> 이것저것 눌러보기

 

EX.

- 기간

- 아이폰 유저인지 아닌지 

 

 

✅ 기초보고서의 기능

 

-실시간 보고서 : 지금 당장 접속해 있는 방문자들의 정보

 

[사용자] 

: 우리 사이트에 방문한 유저들의 특성을 확인해볼 수 있는 지표.  

 

-> 사용자의 

- 인구통계 : 방문자의 인구 통계, 행동 특징 정보들

EX. 방문자의 지역, 언어, 연령, 성별, 관심분야 등 

 

- 기술 : 방문자의 기기 환경 정보들 

EX. 브라우저, 기기모델, 해상도, 운영체재 등

 

 

[Life cycle] 

 

획득 : 방문자가 어떤 경로를 통해 방문했나?

EX. FB광고?, 구글 검색? 카카오? SMS? 

 

참여도 : 방문자가 어떤 행동을 하나?

EX. 어떤 페이지에 방문하는지, 이탈율 등 

 

수익 창출 : 방문자의 행동이 우리가 지정해둔 목표를 달성했나?

EX. 장바구니, 구매시작, 회원가입 수 등 전환비율 확인 

 

 


 

🔖GA에서 볼 수 있는 기초 보고서 

 

 

✅GA기초 보고서기능_기술탭

 

- 날짜

EX. 1월 1일~2월 28일

 

* 측정항목의 종류

 

- 브라우저

- 기기 카테고리

- 기기 모델

- 화면 해상도

- 앱버전

- 플랫폼 

-  Os 버전

- 플랫폼 / 기기 카테고리

- 운영체제

- OS 및 버전 

 

"기기와 관련된 기준으로 볼 수 있다." 

--> 유저들이 어디에서, 어떻게 들어왔는지 보고싶을 때 

 

[기술 세부 정보]

 

 

 

 

- 참여율 : 60%이하가 된다면 허수클릭이 많다는 의밓일 수 있음

- 사용자당 참여 세션수: 재방문과 비슷한 지표 

 

 

 

 

 

✅GA기초 보고서기능_획득정보탭

 

 

1. 우리 웹사이트나 앱에 들어온 채널들의 묶음

2. 채널 그룹별로 쪼개져서 보여줌. 

 

 

 


 

 

 

🔖 7/ 15일 회고 

 

 

✔    뷰저블 활용해서 상세페이지 개선 후 주차별로 성과 비교 

 

 

✔ 메타에서 봐야하는 3가지



노출 : CPM(1000회 노출당 단가) / 노출 수 / 도달 수 / + 빈도 

유입 : CPC / CTR / 클릭 수 
>
상.페 읽기 : PV / UV / 스크롤댑스
-> 각 광고 데이터, (구글, 메타)
-> 뷰저블
-> GA (유입부터 전환까지 확인 가능) 


위에 지표(노출)가 무너지면 밑에 지표(전환)가 살아날 수 없다. 
어떤 매체에서 어떤 전략을 사용하고 있냐? 염두. 

이탈한 고객들을 다시 불러올 방법은?
EX. 
다른 상품들과 비교하고 있는 고객의 경우, 
-> 네이버나 구글에 후기, 인스타 스토리 및 게시글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