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구글 DA 세팅

manddymore 2024. 7. 9. 10:39

 

 

 

🔖구글 디스플레이 장점 및 이해

 

 

 

 

 

입찰 전략에 따라 각기 다르게 설정 가능

 

 

 

 


 

 

🔖캠페인 플래닝

 

 

 

캠페인 : 목표

광고그룹 : 타겟팅

광고 : 무엇을?

 

 

 

 

 

 

* 필수로 준비해야할 에셋 

 

최대한 여러개 만들어서 어떤게 효율이 좋은지 테스트 

 

영상은 필수는 아니지만 확장 차원에서 준비하는게 좋음 

 

 

<구글 광고 투명성 센터 : 광고고 레퍼런스 참고>

 

 

 

 

 


 

 

🔖디스플레이 광고 세팅

 

 

 

 

[지금 시작하기]

[계정 생성]

 

 

[새로운 캠페인 생성]


[디스플레이] 체크 

 

목표 설정없이 만들기 선택하면 모든 유형 선택 가능

 

 

 

캠페인 최적화  : 입찰 목표와도 이어지기에

ex. 구매라면 구매와 관련된 액션 연동 

 

 

 

 

웹페이지는 이 단계에서는 스킵해도 됨, 소재단에서 설정 가능 

 

 

 

선정성 광고 지면 제거

 

 

 

 

 

 

타겟팅 설정은 '교집합'개념이니 꼭 필요한 타겟팅 1~3개 정도만 걸기

OR 아예 최적화 타겟팅 방식 걸기

 

 

 

 

 

업체명 : 브랜드명 _ 공식적인 명칭

 

이미지 : 가로, 정방향은 필수 + 세로형도 넣는 걸 추천 / 최대 15개까지

 

에셋 유형들의 최대한 채우는게 좋음 

 

로고는 대표 로고 1개만 

 

영상 추가는 웬만하면 넣는게 좋음 

 

설정 5개도 해주는게 좋음 

 

URL은 최종 URL에 붙이는 걸 권장 

 


 

🔖성과 확인하기 

 

 

 

1. 대시보드 창에서 바로 확인 가능

-> 원하는 정보값 바로 확인 가능

 

 

2. 보고서 에디터로 맞춤 보고서 기능 

 

 

 

 

 

 

 

보고서 작성하기 클릭

 

-> 원하는 지표들로 구성 

 

 


 

 

🔖디멘드젠 캠페인

 

디스플레이와 다른점 : 로컬라이크 잠재고객

-> 유사세그먼트 추가 가능

-> 내 고객군과 유사한 사용자에게 도달하여 추가적인 전환을 이끌어냄 

-> '구매, 전환' 목표값을 가질 때 활용

 

 

 

[전환가치]는 [전환] 값이 쌓인 후에 설정 

 

 

 

캠페인을 처음 시작할 땐 설정 안하고 가는 걸 추천 

-> 머신의 학습을 막지 않기 위해서

(전환 50개 이상 획득한 후에 설정하는게 정석 프로세스)

 

 

 

너무 자주 바꾸지 말기

(일주일에 2번 이상 바꾸지 말기)

-> 머신에게 학습 기회를 주라

 

 

 


 

 

 

광고그룹명 : 타겟팅 구분 위주로 

 

 

-> 디멘드 젠의 키포인트 [잠재고객 선택]

 

 

맞춤 세그먼트 

: 최근 유튜브, 구글 검색 키워드 기반으로 공략 

적어도 10개 이상

 

내 데이터 

: 리타겟팅 개념

 

관심분야 

: 디스플레이와 동일

 

 

✅ 유사 세그먼트 (  디멘드 젠의 키포인트 [잠재고객 선택])

 

기준이 되는 시그값이 있어야 함

 

우리의 고객이다 하는 값들 

 

최대 10개까지, 많이 넣어줄수록 좋음 

 

 

-> 보통은 [균형잡힘]으로 시작 

 

 


 

 

🔖실적최대화 캠페인

-> 티맥스, 퍼포먼스맥스 

 

 

 

디스플레이를 기반으로 시그널을 얻어내는 보조 캠페인 개념 

 

 

 

액션 : 1개 권장 

 

 

 

-> 매출과 연계되고 싶으면 [전환가치] 클릭 

 

 

 

비용대비 목표하는 ROAS가 있다고 하면 전환 가치 + 타겟 광고 투자수익 클릭 

 

 

오히려 안하는게 전체 성과에 도움이 될 수 있음 

 

 

 

특별한 상황이 아니라면 둘다 클릭 

 

 

 

 

검색 테마 : '이런 검색 타겟층에 다가가줘' 신호 준다는 개념

 

 

 


 

 

 

🔖7/09 회고

 

구글 DA 및 2차 프로젝트 소재 제작 시작. 

 

구글 DA는 META와 크게 다른 점이 없어서 메타를 처음 배울 때보단 수월했다. 

 

앞으로는 구글 SEO의 시대라고 하니 주말에 한번 더 복습하는게 좋을 것 같다. 

 

2차 프로젝트 소재는 1차 프로젝트 때 시도했던 것들 중에서 

베리에이션을 주는 쪽으로 가려고 한다. 

 

소재를 반딱반딱하게 만드는게 쉽지 않다. 

 

CRM, DB수집, 이번 주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