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소한의 SEO
✅ SEO의 개념
SEO(검색 엔진 최적화 : Search engine optimization)
-> 구글 SEO 기준
-> 네이버는 그 때 그때 다름
-> SEO에 끼치는 영향은 수 백가지, 따라서 모든 SEO를 신경쓸 수는 없음
-> 구글의 검색량이 아직 네이버만큼은 아니지만 상승 추세
: (구글의) 검색 결과 페이지에 위리 웹 페이지를 잘 보이게 하는 작업.
검색 결과에 잘 걸리려면 검색엔진이 어떤 페이지를 좋아하는지 이해해
(페이지를) 검색엔진이 좋아하게 바꾸는 최적화 작업
✅ 검색 엔진의 종류
✔ Paid(SEM) : 유료로 노출을 최적화로 보여주는 것
✔ Organic(SEO) : 자연스럽게 들어올 수 있는 작업
-> 개인정보 이슈로 사용자들의 쿠키 값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면서
퍼포먼스 효율이 떨어지는 추세로 유료 광고의 한계점이 생기면서
자연 노출의 중요성이 커짐
✅ SEO의 조건
✔ 콘텐츠(CONTENTS) : 사용자들의 검색 의도에 맞는지
✔ Crawlability : 코딩의 문자체계에 맞는 테크닉적인 기술
✔ Credibility : 외부에서 인용이 많이될수록 양질의 컨텐츠로 인식될 가능성이 높아져 상위 노출할 가능성이 높아짐
(작성자의 영역에서는 벗어남)
+ 요즘은 트래픽양도 점수에 영향을 끼친다고 함
✅ Crawlability 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
-> 이 여섯가지가 작성자가 신경써야할 것들
🔘 제목(메타 타이틀)
🔘 디스크립션
✔ 복사, 반복 싫어함
🔘 이미지/동영상
✔ 가급적 소문자 영문 or 한글
🔘 H태그
🔖 H-Tag 구조화 하기 실습
-> H1은 페이지안에 딱 1개
-> H1의 기준으로 구조화
1. 구글 크롬 웹스토어 세팅
2. H-Tag 설치
3. [ex. 갤럭시 z플립] 검색
4. 다운로드 받았던 H-Tag 클릭
-> [H1]이 가장 먼저 뜸
-> 구조화 순서대로 나열되고 있음
-> 이미지에는 [H]가 들어가는게 좋지 않음
-> 이미지 파일명도 관련 제목으로 바꿔주는게 좋음
🔖 메타타이틀, 디스크립션 설명 및 이미지 태그 등 적용하기
🔘 웹사이트 어드민 접속
- 메타 타이틀, 디스크립션
- URL
-> Digital marketing 이런식으로 깔끔하게 넣는게 좋음
- 이미지_
- H 태그 설정하는 법 _ 드래그해서 클릭
🔖 구글 내부 문서 유출 자료에서 시사되는 점점
✔ 클릭 수 노출에 영향끼침
✔ 크롬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상위 노출의 키를 가지고 있음
✔ 신생 페이지는 패널티가 있음
✔ 클릭률과 체류시간이 지표에 영향을 끼침
💡 고품질의 사용자 중심의 콘텐츠를 제작하는게 중요하고,
사용자 입장에서 유용한 콘텐츠로 만들어야 하는 점은 변함이 없음.
🔖 7/3일 회고
어제 캠페인을 따로 파서 다시 시도를 해봤으나
여전히 효과 저조,,,
각자 소재를 다시 만들었다.
가볍게 보이는 단일 이미지 광고라도
기-승-전결이 필요한것 같다
그래서 실행계획서를 쓰나
이런 일련의 과정을 배워볼 수 있어서 좋다.
조가 바뀌면 상세페이지를 다시 제작해야한다는데
어떻게 해야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