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장 많이 쓰는 AI
✔ 오픈 AI - GPT
✔ 구글 - GEMINI : 구글 ID가 있으면 무료로 이용 가능
✔ 마이크로소프트 - copilot : 간단한 정보 위주
+ CUE (보다 한국인 정서에 맞게 말해줌)
-> 질문마다 잘 대답해주는 경우가 다르다.
- 무료 3.5 : 과거의 정보
- 유료 4 : 최근의 학습된 정보를 바탕, 더 정확하고 잘이해함
-> 차이가 많이남.
🔘 프롬프트
: 명령어, 지시를 내리는 것
-> 질문을 할 때도 잘해야 한다.
ex.
나쁜 예시-
파리여행 계획 짜 줘 (X)
좋은 예시-
(구어체)
(더 발전한 형태)
-> 초안을 잡을 때, 모르겠는 분야에 아이디어를 조금 더 빠르게 얻을 수 있음
✅ 어떤 프롬프트를 짜고 이게 좋은 명령어인지 아닌지 모르겠으면 물어보면 됨
-> 이와 같이 더 나은 프롬프트도 제안해줌
-> 이렇게 얻은 질문으로 GPT 뿐 아니라 다른 AI에도 시도해보면 결과가 다 다르게 나옴
✅ 리서치 할 때, 프롬프트 예시
✅ 똑같은 프롬프트로 각각 다른 AI에 질문했을 때
-> 관심있는 분야를 3가지로 비교해봐라. 아는만큼 보인다.
* CHAT GPT를 맹신하면 안됨. (중, 고급 프롬프트가 잘 작동안되는 경우가 있으니 검증을 해봐야 안다.)
✅ 이미지 활용하기
달리 - 약간 애니메이션 느낌
메타 AI - 실사화에 가깝게 됨
🔘 메타 AI - 우리나라에는 접속 안됨
크롬 웹스토어에 들어가서 턴어베어 설치하고 IP 우회해서 접속
질문1)
20대 초반의 여자가 눈을 감고 비누거품이 ~~
-> 영어로 번역해서 입력
답변1)
점점 원하는거로 수정
마음에 드는 결과가 있으면 프롬프트를 따서
메타 AI에 입력
확장 프로그램 ON > imagine.meta.com
-> 좀 더 실사화처럼 나옴
+ 미드저니가 제일 괜찮긴 한데. 유료
우리 페르소나는 이런 사람인데 이 사람이 좋아할만한 컨텐츠는?
블로그 주제는?
고객 파일 업로드, + 이 리뷰에서 뽑아낼 수 있는 긍정/부정 피드백
인스타그램 해시태그, 등
연습은 내가 잘알고 있는 분야에서 돌려봐야
어떤 ai가 잘하는지 알 수 있다
대화는 티키타카로
프롬프트는 업무 지시를 하는 것처럼 구체화하여 + gpt에게 역할부여
* 페르소나 만드는 법 예시
AI는 누가 활용하냐에 따라서 천차만별
앞으로는 AI를 활용하는 마케터 VS AI를 안쓰는 마케터
🔖 7/1 회고
메타 머신러닝이 다행히 돌아가기 시작해서
성과 지표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경과를 더 지켜봐야 알겠지만
어그로, 만화 소재가 그나마 반응이 있는것 같은데
만약 이게 제일 성과있다고 한다면 2차 프로젝트 때는 어떻게 디벨롭시켜야 하는거지...?
오늘 GPT 수업을 들어서
평소 궁금했던 것을 GPT에게 물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