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 광고란?
✔ 카카오 우리 국민 5천만 중 4800만명이 사용 중
✔ 메시지, 브랜드 광고는 카카오에만 있는 특이한 형태
🔖 카카오광고 지면
🔘 메인탭(비즈보드 CPT)
🔘 채팅탭(비즈보드)
✔ CPT -> 시간대별로 광고비 부과
시간대를 선점해야 함
🔘 PC에서 보여지는 광고 지면
🔘 카카오 DA (지면이 다양하고 그만큼 단가가 조금 더 저렴함)
🔖 광고 어드민
✔ 카카오 비즈니스 사이트
✔ DA는 모먼트
✔ (멤버십 초대)
설정 -> 광고계정 -> 초대
-> 비즈보드에는 동영상 심을 수 없음
✔ 구간별로 금액이 다름
🔖 비즈보드 전환1
✔ 전환은 픽셀이 있어야만 함
🔖 비즈보드 전환2
✔ 반응 데이터 기반으로 선택 가능
🔖 비즈보드 전환3 - 디바이스
✔ 와이파이체크? - 데이터를 신청안해놓은 청소년이라던지 상대를 광고로 할때
✔ 웬만하면 카카오톡과 카카오서비스만
카카오 서비스 : 페이지, 맵, 헤어샵 등
✔ 고객 조사할 때 고객들이 어떤 지면을 많이 보는지 확인
✔ 광고그룹 이름 : 성별 _ 나이_
-> 카카오톡 더보기 탭에 나오는 광고까지 가능성을 열어줄게
-> 체크 X
✔ 보통은 URL만 사용
✔ 이미지 추가 말고/ 배너 만들기 사용
-> 이미지 추가는 귀찮
-> 배너만들기는 실시간 반영도 됨
✔ -> 오브젝트 OR 썸네일형으로
✔ -> 적정 입찰가 알면 수동 입찰
모르면 일단은 자동 입찰
✔ -> 게재방식은 일반 게재 , 빠른 게재는 디폴트 값이니 조심
✔ -> 카탈로그 거의 X, 네이티브로 쓰임
✔ -> 홍보 이미지, 글씨 너무 작으면 안보임
🔖 6/28일차 회고
광고 세팅을 위해 다시 한번 광고 세트를 나누던 중
문제가 발생했다 ㅠ
팀원 각자가 하나의 소구점을 잡고 광고 제작을 하고자 했었는데
막상 결과물을 보니 광고 1개에 하나의 소구점이 아닌 여러개의 소구점이 혼합되어 있었다.
이렇게 되면 광고 집행을 한 후 성과를 볼 때
인사이트 도출이 애매할것 같단 문제점이 예상되었지만
이제와서 싹 다 엎을 수 없으니...
이러니 애초에 집행계획서를 잘 세워야 하는구나 생각되었다
팀원 모두 계정도 비활성화고 우여곡절이 많지만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