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산 전략 및 타게팅 종류 3가지
🔘 ABO _ 광고 세트 예산 최적화
: 세트 당 따로 예산 설정
-> 같은 조건, 서로 비교 쉽게 가능
🔘 CBO_캠페인예 예산 투입
-> 머신러닝 더 잘되는 곳에 돈
💡 ABO,CBO는 돈을 어디에 거냐에 따른 차이
🔘 이거 클릭하면 DCO 설정
-> ' 다이나믹 크리에이티브' ON
-> DCO ON -> 광고 소재는 '10개'로 한정
🔖 ABO, CBO, DCO
- 예산을 넣을 수 있는 곳 : 캠페인, 광고 세트
-
"광고 세트 예산 최적화(ad set budget optimization)" _ 광고 세트에 독립적으로 일일이 예산을 설정 후 최적화
-> 결과를 토대로 디벨롭
장점 : 효율 좋은 세트에 예산 증액 & 복제(다른 세트에 영향 안가도록)
-> 페이스북한테 전적으로 맡기는 것
💡 추천하는 방식 _
처음에는 ABO 타겟도 최소한 3~4개 (DCO도 끄고)
모든 타겟에도 15~20개 / 일주일 정도
🔖 광고 운영 & 예산 전략 심화
✔
-> ABO로 테스트 후
-> 눈에 잘띄는 애들 CBO로 보내기
🔖 스크립트에 대한 이해
✔
픽셀 = 스크립트 = 태그
앞으로는 동일하게 보기
✔ 스크립트란? 페이지를 구성하는 [오른쪽에 있는 코드더미들] => 타겟의 행동 => 추적에 활용됨
-> 사람들의 행동, 꼬리표
🔖 이벤트 픽셀 및 픽셀 헬퍼
-> 설치하려면 전부 크롬이여야
🔖 픽셀 설치를 위한 GTM 개념
-> 이 창이 뜨면 성공
🔖 픽셀 설치 GTM
🔖 GTM을 활용한 이벤트 설정
🔖 리타겟팅(맞춤 타겟) 설정
-> 맞춤 타겟 미리 설정
✔ 리타겟팅하는 법
🔖 6/26일차 회고
탈리를 통해 상세페이지를 업데이트_ 링크 삽입 불가하여 CTA 다 뺐음
아깝ㅠㅠㅠㅠㅠㅠㅠㅠㅠ
* 강사님 광고 소재 피드백
소구점 더 명확하게 보이기 위해 '멘트 줄이기'
* 상세페이지 피드백
포인트 더 잘보일수 있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