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겟조사하는 방법
이 가이드로 시작은 하되 나중에는 자기 만의 방법으로!
✅ 타겟리서치가 필요한 이유
시장조사할 때 나오는 데이터들은 '후행적 데이터'
✔ 왜(Context:행동의 맥락)을 설명하지 못함
✔ 고객들은 자신의 마음을 모름
🔘 고객의 행동이나 대답을 통해 분석으로 알아내야 함
(사람들의 행동이나 습관, 사람들의 관찰해야 함)
📑 타겟 리서치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들
✔ 진짜 고객인지 검증 : 규모 파악
✔ 우리 제품이 없다면 어떤 걸 이용할건지 : 경쟁자 파악
✔ 이용하기까지의 여정이 어떻게 되는지?(어떤 채널 등) : 성장 가능성 파악
✔ 어떤 상황에서 이용하게 되는지 : 업종 트렌드 파악
✔ 사람들의 소비 행태가 어떻게 되는지
💡 진짜 우리 타겟이 우리 제품을 이용하기까지의 과정을 알 수 있음
✅ 잘 성장하는 회사가 고객 조사하면서 얻어내는 것
📑 고객언어
✔ 콘텐츠 제작 시 보이스앤톤(뉴스레터, 인스타, 블로그 계정, 상세페이지 등)
✔ 그 고객들이 쓰는 단어, 뉘앙스 등
📑 채널
✔ 집중해야 할 마케팅 채널
📑 비교대상
✔ 경쟁사와의 차별화해야 하는 점
📑 타겟
✔ 우리가 집중할 고객, 버릴 고객, 잠재 고객
✅ 타겟 리서치 방법
📑 대부분 고객 조사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이유
✔ 설계단계부터 잘못된 경우
✔ 주기적으로 하지 않음
✔ 사용자가에 무엇을 원하고 무엇이 문제인지 질문
(제일 많이 하는 실수, 고객들은 자신의 속마음 잘모르고 얘기 못해준다,
해석이랑 분석은 마케터가 해야된다. 차라리 어려운점이 뭐에요? 왜요? 질문하기)
🔘 그럼 어떻게? -> 진짜 원하는 것을 알기 위해서는 묻지 말고 지켜봐야한다.
💡 해석/분석은 우리 몫
📑 정성조사(Qualitative research)
✔ 그룹 인터뷰(FGI : Focus Group interview_
✔ 1:1 심층 인터뷰(IDI l: In Depth interview)
✔ 필드 스터디 (in-context interview, ethnigraphy)
🔘 포커싱
✔ 도대체 왜 그럴까?
✔ 어떻가 생각하는가?
🔘 결과물
✔ 관찰한 내용, 해석한 바
📑 정량조사_숫자로 표시
✔ 설문조사
✔ 사이트나 앱 내 팝업
✔ 문자나 카톡을 통한 만족도 조사 등
✔ 이메일 서베이
✔ a/b 테스트
✔ 뷰저블, hotjar 등 실제 유저 조사
🔘 포커싱
- 얼마나 많이, 자주 그럴까?
(말과 다르게) 어떻게 행동하는가?
🔘 포커싱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치화된 결과(행동데이터)
💡 실제로는 두가지 방법을 섞어서 사용,
✔ Mixed research
두가지 방법을 섞어서 가설을 검증하는 것
대답하는 것과 행동하는 것 사이에는 차이가 있음
생각이나 태도를 물을 때와 어떻게 행동하는지 확인할 때는 다른 방법 사용
📑 행동 데이터를 보는데 도움이 되는 곳
🔘 뷰저블 활용
✔ 어디를 많이 클릭하는지, 어디를 많이 보는지
✔ 어디에 중요한 정보를 실어야 되는지 알 수 있음
🔘 구글 애널리틱스
✅ 설문조사
🔘 목적
어떤 데이터가 필요하고, 검증이 필요한 부분들은 무엇인가
유저들이 아는 쉽고 단순한 단어 리스트업
🔘 설문준비
설문에 맞는 사람 골라내기
설문지 만들기 : 설문내용 정리, 질문 카테고리화, 질문 순서 정리
조사 : 실무에서의 팁(사례)
분석
📑 질문할 땐
✔ 일반적이고 쉬운 단어와 표현
✔ 정확한 어휘
✔ 설문조사 질문 중립적으로 유지
✔ 한번에 한가지 질문만
✔ 질문 대부분을 선택형으로 할 수 있도록 설계
but 설계를 잘하는 사람들이 많지 않다..
💡 처음엔 라포질문 활용 -> 관련 질문으로 점점 좁히기
📑 설문조사 순서
인터뷰 내용 정리 -> 인사이트(해석) -> 개선사항 -> 우선순위 -> 가이드
📑 리서치 방법
- 인터뷰 시작 전 친밀한 관계 형성
- 인터뷰 목적 소개, 소요시간, 사례비 정보, 사진 촬영 및 녹음 동의 안내
- 인터뷰 대상자 자기소개 요청
- 일상생활 파악*필요시
- 주제와 관련된 핵심 확인사항을 기반으로 질문 전개
- 앞서 질문한 내용에 대해 추가 확인이 필요한 사항 질문
- 인터뷰 마무리
- 사례비 지급
📑 정성적인 방법 조사 팁
- 팔로우업 퀘스쳔
- 적절한 사람 구하는 방법, 일정잡기, 사례
- 중립적인 톤 : 질문에 대한 답을 미리 유도 심문하지 않기
- 열린 질문 : 예/아니오 단답형으로 끝나는 질문으로 구성하지 않기
📑 일정잡는 툴
- 되는시간
- 캘린들리